EdCommTech의 철학
에듀테크(EdTech)는 기술을 교육에 접목하여 학습 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만들어 온 기술 혁신 분야이다. 하지만 교육의 본질은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진정한 교육이란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자신의 관점에서 그것을 재해석하며, 더 나아가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과정이다. 이러한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는 바로 '진정한 커뮤니케이션' 입니다.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은 정보의 일방적 전달이 아닌 상호 간의 공감과 이해를 기반으로 합니다.
상대방의 의견을 듣고 이해하며, 이를 통해 서로의 생각과 경험이 교류되고 확장되어 새로운 통찰과 가치를 형성하게 됩니다.
진정한 교육과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이 만날 때 비로소 학습자는 지식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지식과 가치를 능동적으로 구성하고 창조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EdCommTech는 기존의 EdTech를 넘어선 새로운 개념으로, 교육과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을 혁신적으로 결합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지식을 확장하며 깊이 있는 학습 경험을 만들어 가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교육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제안합니다.
관련 연구
Effects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using ChatGPT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I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저자: Junho Ryu, Heayoun Cho
연도: 2024
간단 요약: 이 연구에서는 ChatGPT를 활용한 하브루타 학습 방법이 예비 유아교사의 AI 활용 능력과 창의적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연구 결과, ChatGPT 기반 하브루타 학습이 교사 후보자들의 AI 기술 활용 능력 향상과 창의적인 교수에 대한 자신감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습니다.
DOI: 10.17206/apjrece.2024.18.3.87
Social presence in online discussions as a process predictor of academic performance
저자: Srećko Joksimović, Dragan Gašević, Vitomir Kovanović 등
연도: 2015
간단 요약: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수준(예: 토론 지속 여부, 동료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 등)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입니다. 적극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지표가 높을수록 온라인 강좌에서 학습자의 최종 성적이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수업 설계 단계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늘리면 사회적 존재감이 높아져 학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DOI: 10.1111/jcal.12107
Shared storytelling with a virtual learning companion: prospects in child-AI collaboration
저자: Ethel Ong, Christine R. De Jesus, Luisa K. Gilig, Dionne T. Ong
연도: 2025
간단 요약: 대화형 에이전트를 가상 학습 동반자로 활용하여 아동과 AI가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협력적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탐색한 연구입니다. 아이들과 에이전트의 상호작용 실험을 통해 에이전트가 다양한 역할과 대화 전략을 취할 때 아동의 협력도와 참여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아이들의 특성에 맞추어 학습 동반자로서 에이전트가 어떻게 적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계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DOI: 10.58459/rptel.2025.20031
The Effects of a Havruta Method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저자: EunJung Chung, Byoung-Hee Lee
연도: 2019
간단 요약: 하브루타 학습법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연구입니다.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 학기 수업 후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하브루타 방식으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학습 계획 수립, 실행 및 평가 능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관심, 관련성, 자신감, 만족도 등 학습 동기도 유의미하게 높아졌습니다. 이는 하브루타식 상호 학습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동기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합니다.
DOI: 10.24313/jpbl.2019.00143
Role of AI chatbots in educatio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저자: Lasha Labadze, Maya Grigolia, Lela Machaidze
연도: 2023
간단 요약: AI 챗봇의 교육 활용에 관한 67편의 선행 연구를 분석한 문헌 리뷰입니다. 그 결과, 챗봇은 학생들에게 과제 및 학습 보조, 맞춤형 학습 경험 제공, 다양한 기술 향상 등 세 가지 주요 측면에서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에게는 시간 절약과 교수법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밝혔습니다. 동시에 챗봇 활용에는 신뢰성, 정확성, 윤리와 같은 중요한 도전 과제들도 존재하며, 이러한 문제들을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DOI: 10.1186/s41239-023-00426-1